본문 바로가기
부자되는 경제 이야기

2023년 부모급여 쉽게 신청하는 법

by jeongbobaguni 2022. 12. 19.
반응형

부모급여-수령-방법부모급여-신청-방법

부모급여 최대 100만원 지급받을 수 있다

2023년 1월 1일부터 부모급여 제도가 도입됩니다. 만 0세 아동이 있는 가정에는 월 70만원, 만 1세 아동이 있는 가정에는 월 35만원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정부에서는 시간제 보육과 아동돌봄서비스, 국공립어린이집 등 공공보육 서비스를 확대하고 2027년까지 해당 이용률을 50% 이상으로 높여갈 방침입니다.

 

부모급여 제도가 추진되는 이유

부모급여-연도별-차이
출처 :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초저출산 시대에 영아기 출산, 양육 지원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입니다. 양육과 어린이집 이용에 필요한 비용을 포함해서, 부모에게 통합적으로 지급함으로써 부모의 양육 선호를 확대하고 양육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입니다. 우선적으로 시행되고 있던 영아수당을 대폭 확대하여 추진됩니다. 육아휴직 급여와는 중복되지 않으며, 양육초기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국가의 지원 정책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022년 영아수당의 경우, 가정양육과 시설이용에 대한 비용이 만 0세~만1세 모두 동일하게 월 30만원, 월 50만원으로 지급이 되었습니다. 2023년 부모급여의 경우, 만 0세와 만 1세의 경우 월 70만원에서 최대 85만원까지 지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모급여 빠르게 신청하는 방법

어디서 신청하나요? 복지로 사이트 접속 → 복지서비스 신청
어떻게 신청하나요? 복지로 사이트 접속 후 회원가입
얼마나 지급받나요? 2023년 기준 만0세 월 70만원, 만 1세 월 35만원
2027년까지 만 0세 월 100만원, 만 1세 

그 외 시간제 보육과 아이 돌봄 서비스 등 양육 지원 서비스가 더 확대될 전망입니다. 또한, 육아종합지원센터를 통해서 각종 양육지원 서비스의 연계가 강화될 예정입니다. 시간제 보육 서비스의 정기적인 이용 수요가 있는 경우, 어린이집 기존 반에 통합시켜서 신규 모형이 형성될 예정이며, 서비스 신청과 결제 방식을 획기적으로 개편하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더 높일 것으로 보입니다.

 

보육과 양육 서비스의 질적인 도약을 통해서 모든 영유아는 물론이고 부모의 행복한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로써 2023년에 더욱 보완되어 시행됩니다.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복지로 사이트를 참고하시거나 고객센터를 이용하시면 안내를 친절하게 받으실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