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자되는 경제 이야기

알뜰교통카드, 2023년 1월부터 대폭 늘어나는 혜택 총정리

by jeongbobaguni 2022. 12. 26.
반응형

알뜰교통카드-교통비-절약

우리나라 국민들이 애용하는 대중교통 지원제도에 대한 소식이 나왔습니다. 2023년 1월부터 국토교통부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국민들에 대한 혜택을 더 많이 강화할 예정입니다. 기초 차상위 계층의 저소득층의 경우 그 혜택을 더 볼 수 있습니다.

 

내년부터 어떤 혜택이 확대되는가?

지금은 알뜰교통카드라고 통합이 된, 광역알뜰교통카드의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2023년 경제정책 방향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에서 나온 이야기입니다. 내년부터, 즉 2023년부터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알뜰교통카드의 혜택을 더 확대할 예정입니다.

 

알뜰교통카드가 무엇인가?

도보 혹은 자전거를 타고 이동할 때, 버스나 지하철에서 내려서 목적지까지 걸어서 이동을 할 때, 이동한 거리만큼 요금 할인을 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카드사의 혜택까지 더해지면 한 달에 내가 대중교통을 이용한 금액의 최대 50%까지도 캐시백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평균적으로 1만원에서 4만원 정도 됩니다.

 

걸음걸이가 많을수록 (최대 800m) 국가나 지자체에서 대중교통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제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직 법인차량을 운영해서 출퇴근을 하고 있는 저로서는 대중교통을 도전해야 하나 생각이 들 정도로 기름값 부담이 강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알뜰교통카드를 새로 발급받는 것을 엄청나게 고민하고 있는 상황인데, 이렇게 23년부터 지원을 강화한다고 하니 더욱 솔깃합니다.

 

마일리지를 받기 위해서라도 조금 더 걷게 되면 건강도 챙길 수 있어 일석이조입니다. 젊은 층들에서는 이미 유튜브나 블로그 등 이 카드가 많이 알려졌기 때문에 절약을 조금이라도 한다 싶은 친구들은 다 사용하고 있는 카드입니다.

 

알뜰교통카드 캐시백은 얼마나 되나?

1회 교통요금 지출액 2천원 미만 2천원~3천원 3천원 이상 비고
일반(현행유지)
(월상한)
~250원 (11,000원) ~350원 (15,400원) ~450원 (19,800원) 보행, 자전거 이동
이동거리 최대 800m에
비례하여 캐시백 지급
청년층(신설) (월상한) ~350원(15,400원) ~500원(22,000원) ~650원(28,600원)
저소득층(상향)
(월상한)
350 -> 500원
(22,000원)
500원 -> 700원
(30,800원)
650원 -> 900원
(39,600원)

한 달에 15번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하는 조건과, 한 달 최대 44회 이용하는 제약이 있다는 점 참고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하루에 횟수 제한은 없기 때문에 1일 내 여러 번 적립이 가능합니다.

 

서울, 인천, 경기를 비롯한 수도권 지역에서만 시작이 되었던 이 제도가, 2023년 1월 1일부터는 경북, 경산까지 확대되어 운영이 될 예정입니다.

 

총 164개의 시군구에서 확대 운영이 되기 때문에 거주 지역을 확인하고서 카드 신청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미세먼지 저감조치가 발령된 날에는 마일리지가 2배로 적립되고, 한 달에 한 번씩 캐시백 형태로 들어갑니다. 

 

알뜰교통카드 발급 받는 법이 궁금해요!

검색창에 알뜰교통카드라고 검색한 후, 홈페이지에서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형태로 발급하면서 후불 교통카드 기능을 넣으면 됩니다. 저는 우리카드 및 우리은행을 주거래 은행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발급 받을 일이 있다고 해도 우리카드를 이용하겠지만, 카드사별로 대중교통 이용 비용 외 지급하는 혜택이 다르기 때문에 자기에게 맞는 혜택을 선택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게 좋겠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앱도 반드시 다운로드 한 후 회원가입을 해야 발급받은 카드 정보를 입력하고 캐시백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기초/차상위계층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미리 지역 주민센터 혹은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수급자 증명서나 확인서를 발급 받아서 회원가입을 하면서 정보 입력을 하면 되겠습니다. 저소득층 증빙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앱을 통해서 출발하기-도착하기 버튼을 눌러야 마일리지 적립이 되는 점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