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자되는 경제 이야기

외환시장 정확한 뜻? 정부 외환시장 개방과 규제완화 알아보기

by jeongbobaguni 2023. 2. 17.
반응형

뉴스를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는 대한민국 외환시장의 개방! 정부가 무려 70년만에 외환시장을 개방하고, 20년 간 지속되었던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그동안 폐쇄적으로 운영되었던 외환시장을 전면 개조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외환 거래를 하는 개인과 기업 모두에게 엄청난 영향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한 내용을 바탕으로 어떤 내용이 달라졌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그 전에!

 

외환시장이 무엇인가요?

외환시장은 외환의 수요와 공급이 되는 장소를 의미합니다. 조금 더 넓게 보자면 외환거래의 형성과 유통, 결제가 이뤄지는 모든 매커니즘을 말합니다.

 

한 나라의 통화로부터 다른 나라 통화로의 구매력 이전을 가능하게 한다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외환시장과 관련이 가장 큰 것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환율'로, 두 통화 간의 교환 비율을 의미합니다. 각 나라의 외환시장 수급 사정에 따라서 환율이 변동하게 되고, 이것은 국제수지의 조절 기능을 수행합니다.

 

외환시장은 거래 당사자에 따라서 은행간 시장이 될 수도 있고, 대고객 시장이 될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대고객이라고 하면 정부, 기업, 개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정부의 외환시장 정책이 어떻게 변화했나요?

지난 2월 10일, 경제 규제혁신 TF를 만든 이후 증빙서류 없이 해외 송금을 할 수 있는 한도를 올렸습니다. 연간 5만 달러에서 10만 달러로 확대 개편한 것이 그 내용입니다.

 

지난 2월 7일에는 해외에 소재한 외국 금융 기관에서, 국내의 외환시장에 직접 참여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또한 외환 거래 시장 마감 시장도 변했습니다. 현재는 오후 3시 30분까지 거래가 가능했는데, 앞으로는 새벽 2시까지 연장하자는 구조 개선방안도 나오기도 했습니다. 개인 간 거래는 물론이고, 외국인 투자자 역시, 시간 제약 없이 원하는 시간에 원화 환전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국내 기업은 해외직접 투자를 할 경우, 수시로 보고해야 하는 의무의 짐을 조금 내려놓게 되었습니다. 정부에서 올해 상반기 중에 현재 시행되는 수시 보고 제도를 폐지하고, 1년에 한 번만 정기보고를 하면 되게끔 통합 방안을 내세웠기 때문입니다.

 

외환시장 정책 변화, 마냥 좋은 걸까요?

이러한 규제 완화로 인해서 투기성 자금이 들어온다거나, 자금 유출이 더 쉬워져서 원화와 달러의 환율 변동 폭이 더 커질 수도 있겠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추 부 총리는, 국내 금융기관이 시장에 대한 주도권을 유지하겠다는 당부와 함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실제로 외환시장 문을 열면, 나라 안팎으로 돈이 더 자유롭게 오갈 수 있기 때문에 경제가 더 활발해질 것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원화의 힘도 많이 세졌기 때문에 위기가 생겨도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는 근거가 뒷받침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